전체 글8 디지털 기록 vs. 아날로그 기록: 무엇을 남길 것인가 1. 손으로 쓰는 기록의 힘: 아날로그 방식의 가치 디지털 환경이 일상에 깊숙이 스며든 오늘날에도 종이 위에 펜으로 글을 쓰는 행위는 여전히 독자적인 의미를 지닌다.손글씨로 기록을 남기는 방식은 단순히 정보를 보존하는 차원을 넘어, 감정과 분위기까지 함께 담아낼 수 있는 특성이 있다.글씨체, 문장의 흐름, 종이의 질감 등은 모두 기록자가 느낀 감정을 고스란히 반영한다. 그래서 나는 아직까지는 아날로그 방식을 좀더 선호하는 것 같다.물론 글을 쓰는 것도 좋아하지만 종이가 주는 힐링적인 요소가 나에게 느껴지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아날로그가 나에게 더 맞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아날로그 기록의 가장 큰 장점은 ‘느림’에서 비롯되는 몰입감에 있다.손으로 글을 쓰는 과정은 자연스럽게 기록의 내용을 되새기게 만.. 2025. 5. 1. 안녕하세요 필사본(筆寫本), 수서본(手書本), 서사본(書寫本), 초사본(鈔寫本)이란 인쇄 기술에 의존하지 않고 손으로 직접 글을 써서 제작한 도서나 출판물 형태를 의미한다. 이는 활자로 책을 제작하는 활자본(활판본), 목판을 사용하는 목판본 등과는 구별되어서 실생활에 쓰인다. 인쇄술이 발명되기 이전에 자주 이용되어 왔다.각 문명의 필사본고대 이집트고대 이집트 문화권에서는 파피루스에다 갈대 펜, 새 깃털 펜을 이용해서 글을 썼다. 이 문화권에서는 수서(手書)를 직업으로써 종사하는 사자생(寫字生)이 존재하였다. 파피루스 이외에 양,송아지와 같은 동물의 가죽이 주로 수서가 사용하는 재료가 되었다. 이를 통해 지금과 같은 책의 원래 형태라고 할 수 있는 책자가 나오게 되었다.서양권기독교 문화가 번성하였던 중세 시대에는 각.. 2025. 4. 28. 이전 1 2 다음